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체포영장 집행이 1월 15일 새벽 5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작전은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법 집행의 상징성을 강조하며 철저한 준비 끝에 실행에 옮겨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한남동 관저 주변의 경호처와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지막 협상과 작전 조율을 진행 중이다. 체포영장 집행에는 전국에서 동원된 경찰 1,000여 명이 투입된다. 서울, 경기남부, 경기북부, 인천청의 광역수사단과 형사기동대, 마약범죄수사대 등 여러 부서의 정예 인력들은 국가수사본부(국수본)에 파견되었으며 이들은 관저앞에 집결하여 체포조, 장애물 제거조, 호송조로 세분화된 역할을 맡는다. 특히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소속의 300여명은 공수처에 직접 파견되어 체포영장 집행에 집중 투입된다. 경찰은 한남동 대통령 관저의 차벽, 철조망 등 방어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해 대규모 중장비를 배치했으며, 장애물 제거 작업은 14일 자정부터 개시될 가능성이 크다. 준비된 장비에는 경찰 크레인과 절단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관저 진입로의 개방을 목표로 한다. 경호처는 "체포영장 집행이 불법적이라 판단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재집행을 앞두고 경찰과 대통령경호처 간 대치가 격화되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8일 수도권 4개 지방경찰청(서울, 경기남부, 경기북부, 인천)에 광역수사단 형사들을 동원하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는 “안보 및 광역 수사 기능 소속 수사관의 동원을 준비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으며, 강력 사건 담당 형사기동대와 마약수사대, 안보수사대까지 동원 대상에 포함됐다. 관계자에 따르면 4개 지방청 산하 인력은 900여 명에 달하며, 기존 특수단 인력을 포함하면 총 동원 가능한 병력은 천 명을 훌쩍 넘는다. 관저 주변 질서 유지를 위해 기존 2,700명 규모의 경찰 기동대도 대폭 증강될 전망이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에 출동할 수 있는 형사들을 사실상 전원 동원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대통령경호처의 방어 조치 또한 강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경호처가 한남동 관저를 요새화하고 있다”며 “철조망을 설치하고 차량 차벽을 3중으로 배치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사무직 직원까지 포함해 약 500명에게 총동원령을 내리고 관저 주변을 철저히 방어하고 있다”며 “